카테고리 없음

버스에 달린 ‘eZL’ 장치 총정리(기능, 업체 등)

리포-터 2025. 10. 14. 23:45

버스에 달린 ‘eZL’ 장치의 정체는?

 

 

버스에서 보이는 ‘eZL’, 그게 뭐길래?

 

요즘 버스를 타면 앞쪽 운전석 근처에
‘eZL’ 로고가 붙은 검은색 장비가 달려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겉보기엔 단순한 상자 같지만, 이 장치는 버스의 핵심 통신 허브 역할을 합니다.


eZL 장치의 역할 한눈에 보기

기능 구분설명
통신 관리 버스 내 여러 장치(CCTV, 카드단말기, 안내음성기 등)를 네트워크로 연결
데이터 전송 실시간 위치, 속도, 정류장 도착 정보 등을 관제센터로 송신
운행 기록 저장 운행 중 발생하는 이상 신호나 이벤트(급정거, 급가속 등) 기록
보안·안전 관리 블랙박스 영상 및 운행 로그를 통합 관리

즉, 버스 내부의 장비들이 eZL이라는 시스템을 통해 하나로 묶여 작동하는 셈이죠.


‘eZL’은 어떤 회사의 제품일까?

eZL은 국내 교통·통신 솔루션 기업 ㈜이지엘(eZL Co., Ltd.)에서 제작한 시스템입니다.
주요 사업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스마트버스 통합 제어 장치(TIMS, BIS, BMS)
  • 차량 위치 관제 시스템 (GPS 기반 운행관리)
  • 지자체용 교통 데이터 수집 서버 구축

전국 여러 시·도 시내버스, 공항리무진, 공공기관 차량 등에 널리 설치되어 있습니다.


eZL 장치가 하는 일, 조금 더 구체적으로

1) 위치 추적 (GPS)
→ 버스의 실시간 위치를 관제센터에 전송
→ “버스 도착 정보” 앱(카카오맵, 네이버지도 등)에 반영

 

2) 카드 결제 연동
→ 교통카드 단말기와 통신해 요금정보를 서버로 전송

 

3) CCTV 영상 저장 및 전송
→ 사고나 분쟁 발생 시, eZL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를 추출

 

4) 운행 진단
→ 엔진·전력 이상, 급정거 등 운전 습관 데이터를 자동 분석


 기술적으로 보면, 버스의 ‘작은 서버’

eZL은 버스 안에 설치된 작은 컴퓨터 서버와 비슷합니다.
LTE나 5G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운행 기록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합니다.
이 덕분에 관제센터에서는 수백 대 버스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죠.


 알아두면 좋은 상식

  • eZL은 운행관제시스템(TIMS) 또는 BIS(버스정보시스템)의 일부입니다.
  • 장비에 있는 LED 불빛은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나타냅니다.
    (녹색 = 정상, 적색 = 통신 오류)
  • 운전기사가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는 거의 없습니다.

 정리하자면

🔹 eZL = 버스 통신·관제 장치
🔹 버스 내부의 여러 장비를 연결하는 “통합 네트워크 허브”
🔹 승객용이 아닌, 운행정보 관리용 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