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우리 시대의 핵심 역량, AI 리터러시 (+ 정의, 범위, 특징 등)

리포-터 2025. 9. 21. 13:54

AI 리터러시, 왜 지금 우리에게 중요한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서 AI 리터러시로 확장되는 시대적 과제


1.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필요성

우리는 일상 속에서 수많은 정보와 마주합니다. 피싱 메일, 편향된 기사, 충동적 클릭을 유도하는 광고 문구, 자극적인 SNS 글 등은 이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가 왜 중요한지를 보여 줍니다. 단순히 정보를 읽는 능력을 넘어서, 정보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왜곡되는지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2. AI가 바꾼 정보의 흐름

 

과거에는 “사람 ↔ 미디어 ↔ 사건”이라는 단순한 구조였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AI가 탑재된 디지털 미디어가 등장하면서 “사람 ↔ AI 매개 미디어 ↔ 사건”이라는 새로운 구조가 생겼습니다.
AI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중계자가 아니라, 정보를 가공하고 생성하는 능동적 매개자입니다. 우리가 접하는 글, 이미지, 영상 중 상당수가 이미 AI의 도움을 받아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3. 우리가 알아야 할 AI의 특징

AI 리터러시를 위해 반드시 이해해야 할 핵심 특징들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3-1. 생성적 특징

AI는 기존 자료를 단순히 꺼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글·그림·소리를 창조적으로 생성합니다.
→ 이제는 “사람이 만든 것인지, AI가 만든 것인지” 구분할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합니다.

 

3-2. 확률적 특징

AI는 정답을 ‘아는’ 것이 아니라,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답을 계산합니다.
→ 겉보기에는 자연스럽지만,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반드시 사실 확인이 필요합니다.

 

 

3-3. 데이터 의존성 

AI는 스스로 세상을 경험하지 않습니다. 오직 학습한 데이터에 의존합니다.

  • 만약 데이터가 균형 잡혀 있다면, AI는 유용하고 신뢰할 만한 도구가 됩니다.
  • 하지만 데이터가 편향되어 있다면, AI의 결과도 그 편향을 그대로 드러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집단을 부정적으로 다룬 자료가 많다면, AI 역시 그런 뉘앙스를 답변에 담을 수 있습니다.
    이 점에서 중요한 것은 “AI가 편향됐다”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AI가 다루는 데이터의 한계를 알고 활용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 따라서 AI 리터러시는 “AI가 무엇을 배웠고, 그 한계가 어디에 있는가”를 이해하는 능력입니다.

 

3-4. 중재적 특징 

AI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게 아니라 정보를 정리하고 추천하며 맥락을 재구성합니다.
검색 엔진, 뉴스 추천, SNS 피드 알고리즘 모두 AI가 중심에 서 있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AI 자체가 ‘좋다’ 혹은 ‘나쁘다’가 아니라, 우리가 AI의 필터링과 재구성 방식을 알고 주체적으로 활용하느냐입니다.
AI는 유능한 도구이지만,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결과는 달라집니다. 우리의 역할은 AI가 제공하는 결과를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선택하는 주체로 남는 것입니다.

 

3-5. 불투명성

AI가 답을 내놓는 과정은 대부분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습니다.
→ 결과만 보고 무조건 믿는 태도는 위험합니다.

 

3-6. 도구성과 주체성의 긴장

AI는 도구지만, 사람과 대화하는 순간 주체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 중요한 것은 “최종 결정권은 인간에게 있다”는 인식입니다.

 

3-7. 윤리적·사회적 파급력

AI는 저작권 문제, 개인정보 보호, 노동 구조 변화 등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칩니다.
→ AI 리터러시는 개인의 능력을 넘어 공동체적 합의와 책임 있는 활용을 위한 기반입니다.


4. 왜 AI 리터러시가 필수인가?

 

 

AI는 ‘위험한 존재’도, ‘만능 해결사’도 아닙니다. AI는 그저 유능한 도구입니다. 문제는 AI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는가, 누가 책임을 지는가입니다.

  • 개인 차원: 사실과 거짓을 분별하고, 자신의 판단력을 지키는 힘
  • 사회 차원: 공정성과 신뢰를 확보하고, 기술을 인간다운 방향으로 이끄는 합의

결국 AI 리터러시는 사람과 사회가 AI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달라진다는 깨달음에서 출발합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현명하게 선택하고, 기술을 인간다운 삶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힘, 그것이 바로 AI 리터러시입니다.

 

 

 

 

 

https://literacy-korea.com/entry/%EC%9C%A0%EA%B6%8C%EC%9E%90%EA%B0%80-%EC%95%8C%EC%95%84%EC%95%BC-%ED%95%A0-AI-%EC%83%81%EC%8B%9D

 

유권자가 알아야 할 AI 상식

AI의 발전은 정치 영역에도 빠르게 스며들고 있으며, 특히 선거 유세 과정에서의 활용이 점차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후보자의 메시지를 더 넓은 대중에게 빠르게 전달하고, 유권자 개개인과의

literacy-korea.com

 

https://literacy-korea.com/entry/%EC%95%8C%EA%B3%A0%EB%A6%AC%EC%A6%98-%EC%B6%94%EC%B2%9C-%EC%8B%9C%EC%8A%A4%ED%85%9C%EC%9D%B4%EC%A0%90%EA%B3%BC-%EB%B6%80%EC%9E%91%EC%9A%A9

 

알고리즘 추천 시스템_이점과 부작용

우리는 정보의 바다라 불리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수많은 정보가 손끝에서 닿을 수 있는 거리에 놓이게 되었지만 그중에서 진정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는 것은 여전

literacy-korea.com